- Bubble sort
-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 인접한 2개의 레코드를 비교하여 크기가 순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서로 교환한다. 선택 정렬과 기본 개념이 유사하다.
- 버블 정렬(bubble sort) 알고리즘의 특징
- 장점
- 구현이 매우 간단하다.
- 단점
- 순서에 맞지 않은 요소를 인접한 요소와 교환한다.
- 하나의 요소가 가장 왼쪽에서 가장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배열에서 모든 다른 요소들과 교환되어야 한다.
- 특히 특정 요소가 최종 정렬 위치에 이미 있는 경우라도 교환되는 일이 일어난
- 일반적으로 자료의 교환 작업(SWAP)이 자료의 이동 작업(MOVE)보다 더 복잡하기 때문에 버블 정렬은 단순성에도 불구하고 거의 쓰이지 않는다. 버블 정렬(bubble sort)의 시간복잡도
- 장점
- 버블 정렬(bubble sort) 알고리즘의 특징
-
- 장점
- 안정한 정렬 방법
- 레코드의 수가 적을 경우 알고리즘 자체가 매우 간단하므로 다른 복잡한 정렬 방법보다 유리할 수 있다.
- 대부분의 레코드가 이미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 단점
- 비교적 많은 레코드들의 이동을 포함한다.
- 레코드 수가 많고 레코드 크기가 클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
- 장점
- 삽입정렬
-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알고리즘 개념 요약
- 손안의 카드를 정렬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 새로운 카드를 기존의 정렬된 카드 사이의 올바른 자리를 찾아 삽입한다.
- 새로 삽입될 카드의 수만큼 반복하게 되면 전체 카드가 정렬된다.
- 자료 배열의 모든 요소를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이미 정렬된 배열 부분과 비교 하여, 자신의 위치를 찾아 삽입함으로써 정렬을 완성하는 알고리즘
- 매 순서마다 해당 원소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를 찾아 해당 위치에 넣는다.
- 손안의 카드를 정렬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알고리즘의 구체적인 개념
- 삽입 정렬은 두 번째 자료부터 시작하여 그 앞(왼쪽)의 자료들과 비교하여 삽입할 위치를 지정한 후 자료를 뒤로 옮기고 지정한 자리에 자료를 삽입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 즉, 두 번째 자료는 첫 번째 자료, 세 번째 자료는 두 번째와 첫 번째 자료, 네 번째 자료는 세 번째, 두 번째, 첫 번째 자료와 비교한 후 자료가 삽입될 위치를 찾는다. 자료가 삽입될 위치를 찾았다면 그 위치에 자료를 삽입하기 위해 자료를 한 칸씩 뒤로 이동시킨다.
- 처음 Key 값은 두 번째 자료부터 시작한다.
-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알고리즘 개념 요약
-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알고리즘 특징
- 장점
- 안정한 정렬 방법
- 레코드의 수가 적을 경우 알고리즘 자체가 매우 간단하므로 다른 복잡한 정렬 방법보다 유리할 수 있다.
- 대부분의 레코드가 이미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 단점
- 비교적 많은 레코드들의 이동을 포함한다.
- 레코드 수가 많고 레코드 크기가 클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
- 장점
- 퀵정렬
- 퀵 정렬(quick sort) 알고리즘의 개념 요약
- ‘찰스 앤터니 리처드 호어(Charles Antony Richard Hoare)’가 개발한 정렬 알고리즘
- 퀵 정렬은 불안정 정렬 에 속하며, 다른 원소와의 비교만으로 정렬을 수행하는 비교 정렬 에 속한다.
-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하나로, 평균적으로 매우 빠른 수행 속도를 자랑하는 정렬 방법
- 합병 정렬(merge sort)과 달리 퀵 정렬은 리스트를 비균등하게 분할한다.
- 문제를 작은 2개의 문제로 분리하고 각각을 해결한 다음, 결과를 모아서 원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이다.
- 분할 정복 방법은 대개 순환 호출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 리스트 안에 있는 한 요소를 선택한다. 이렇게 고른 원소를 피벗(pivot) 이라고 한다.
- 피벗을 기준으로 피벗보다 작은 요소들은 모두 피벗의 왼쪽으로 옮겨지고 피벗보다 큰 요소들은 모두 피벗의 오른쪽으로 옮겨진다. (피벗을 중심으로 왼쪽: 피벗보다 작은 요소들, 오른쪽: 피벗보다 큰 요소들)
- 피벗을 제외한 왼쪽 리스트와 오른쪽 리스트를 다시 정렬한다.
- 분할된 부분 리스트에 대하여 순환 호출 을 이용하여 정렬을 반복한다.
- 부분 리스트에서도 다시 피벗을 정하고 피벗을 기준으로 2개의 부분 리스트로 나누는 과정을 반복한다.
- 부분 리스트들이 더 이상 분할이 불가능할 때까지 반복한다. 리스트의 크기가 0이나 1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
- 퀵 정렬(quick sort) 알고리즘의 개념 요약
- 하나의 리스트를 피벗(pivot)을 기준으로 두 개의 비균등한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리스트를 정렬한 다음, 두 개의 정렬된 부분 리스트를 합하여 전체가 정렬된 리스트가 되게 하는 방법이다.
- 퀵 정렬은 다음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 분할(Divide): 입력 배열을 피벗을 기준으로 비균등하게 2개의 부분 배열(피벗을 중심으로 왼쪽: 피벗보다 작은 요소들, 오른쪽: 피벗보다 큰 요소들)로 분할한다.
- 정복(Conquer): 부분 배열을 정렬한다. 부분 배열의 크기가 충분히 작지 않으면 순환 호출 을 이용하여 다시 분할 정복 방법을 적용한다.
- 결합(Combine): 정렬된 부분 배열들을 하나의 배열에 합병한다. 순환 호출이 한번 진행될 때마다 최소한 하나의 원소(피벗)는 최종적으로 위치가 정해지므로, 이 알고리즘은 반드시 끝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 장점
- 속도가 빠르다.
- 시간 복잡도가 O(nlog₂n)를 가지는 다른 정렬 알고리즘과 비교했을 때도 가장 빠르다.
- 추가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퀵 정렬은 O(log n)만큼의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 속도가 빠르다.
- 단점
- 정렬된 리스트에 대해서는 퀵 정렬의 불균형 분할에 의해 오히려 수행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 퀵 정렬의 불균형 분할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벗을 선택할 때 더욱 리스트를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선택한다.
- EX) 리스트 내의 몇 개의 데이터 중에서 크기순으로 중간 값(medium)을 피벗으로 선택한다.
- 병합정렬
-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이라는 사람이 제안한 방법
-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현했을 때 이 정렬은 안정 정렬 에 속하며,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하나 이다.
-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방법
- 문제를 작은 2개의 문제로 분리하고 각각을 해결한 다음, 결과를 모아서 원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이다.
- 분할 정복 방법은 대개 순환 호출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방법
- 과정 설명
- 리스트의 길이가 0 또는 1이면 이미 정렬된 것으로 본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를 절반으로 잘라 비슷한 크기의 두 부분 리스트로 나눈다.
- 각 부분 리스트를 재귀적으로 합병 정렬을 이용해 정렬한다.
- 두 부분 리스트를 다시 하나의 정렬된 리스트로 합병한다.
- 하나의 리스트를 두 개의 균등한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리스트를 정렬한 다음, 두 개의 정렬된 부분 리스트를 합하여 전체가 정렬된 리스트가 되게 하는 방법이다.
- 합병 정렬은 다음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 분할(Divide): 입력 배열을 같은 크기의 2개의 부분 배열로 분할한다.
- 정복(Conquer): 부분 배열을 정렬한다. 부분 배열의 크기가 충분히 작지 않으면순환 호출 을 이용하여 다시 분할 정복 방법을 적용한다.
- 결합(Combine): 정렬된 부분 배열들을 하나의 배열에 합병한다.
- 합병 정렬의 과정
- 추가적인 리스트가 필요하다.
- 각 부분 배열을 정렬할 때도 합병 정렬을 순환적으로 호출하여 적용한다.
- 합병 정렬에서 실제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시점은 2개의 리스트를 합병(merge)하는 단계 이다.
- 배열에 27, 10, 12, 20, 25, 13, 15, 22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자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보자.
- 2개의 정렬된 리스트를 합병(merge)하는 과정
- 2개의 리스트의 값들을 처음부터 하나씩 비교하여 두 개의 리스트의 값 중에서 더 작은 값을 새로운 리스트(sorted)로 옮긴다.
- 둘 중에서 하나가 끝날 때까지 이 과정을 되풀이한다.
- 만약 둘 중에서 하나의 리스트가 먼저 끝나게 되면 나머지 리스트의 값들을 전부 새로운 리스트(sorted)로 복사한다.
- 새로운 리스트(sorted)를 원래의 리스트(list)로 옮긴다.
- 단점
- 만약 레코드를 배열(Array)로 구성하면, 임시 배열이 필요하다.
- 제자리 정렬(in-place sorting)이 아니다.
- 레크드들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이동 횟수가 많으므로 매우 큰 시간적 낭비를 초래한다.
- 만약 레코드를 배열(Array)로 구성하면, 임시 배열이 필요하다.
- 장점
- 안정적인 정렬 방법
- 데이터의 분포에 영향을 덜 받는다. 즉, 입력 데이터가 무엇이든 간에 정렬되는 시간은 동일하다. (O(nlog₂n)로 동일)
- 만약 레코드를 연결 리스트(Linked List)로 구성하면, 링크 인덱스만 변경되므로 데이터의 이동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진다.
- 제자리 정렬(in-place sorting)로 구현할 수 있다.
- 따라서 크기가 큰 레코드를 정렬할 경우에 연결 리스트를 사용한다면, 합병 정렬은 퀵 정렬을 포함한 다른 어떤 졍렬 방법보다 효율적이다.
- 안정적인 정렬 방법
-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 인접한 2개의 레코드를 비교하여 크기가 순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서로 교환한다. 선택 정렬과 기본 개념이 유사하다.
'Engineering WIKI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팩토링 2판 - Chapter 6 (기본적인 리팩터링) (0) | 2022.10.20 |
---|---|
리팩토링 2판 - Chapter 4 (테스트 구축하기) (0) | 2022.10.20 |
리팩토링 2판 - Chapter 3 (코드에서 나는 악취) (0) | 2022.10.20 |
리팩토링 2판 - Chapter2 요약 (0) | 2022.10.20 |
리팩토링 2판 - Chapter 1 (0) | 2022.10.20 |
노마드 북클럽 - 클린코드 (0) | 2022.02.19 |
실무에서 바로 통하는 자바 (0) | 2021.09.21 |
자바 프로그래밍 면접 이렇게 준비한다 - (Comparable vs Comparator)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