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28

웹 서버와 웹 컨테이너 서버 웹서버와 JSP컨테이너는 별개라고 할수도 아니라고 할수도 있다. 대부분 JSP로 만들어진 사이트는 웹서버와 JSP컨테이너를 탑재하고 있는 WAS를 연동해 사용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웹서버가 하는 일은 html,img등 일반 웹문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만을 하지만, JSP컨테이너를 탑재하고 있는 WAS(Web Application Server)는 JSP를 컴파일하여 실행한 결과를 html으로 만들어 보여준다.웹서버만 구축되어 있는 서버는 웹페이지,이미지,영상등을 전달해 줄수는 있지만, JSP페이지를 컴파일해 동적인 페이지를 생성하지는 못한다. 이를 위해서는 JSP컨테이너가 탑재되어 있는 WAS가 필요한 것이다. 웹 서버는 웹문서를, WAS는 JSP 페이지를, 이런식으로 양분하여 역할분담을 함으로.. 2019. 1. 19.
IT 용어 정리 호스트 [host] 컴퓨터 네트워크와 원거리 통신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을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중앙 집중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한 사용자는 전자 우편과 텔넷, 그리고 FTP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말의 원래의 의미 「주인」과 같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분야를 가리지 않고 「상위」, 「친(親)」, 「주(主)」, 「호스트」로 번역한다.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 호스트 CPU(host CPU), 호스트 프로세서(host processor) 등의 복합어가 있다. host와 대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새틀라이트(satelite)이다. 분산 데이터 처리(distributed data processi.. 2019. 1. 19.
OS 관련 용어 뿌수기 BIOS 컴퓨터에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군을 말한다. OS를 기동시키기 전에 메모리나 하드웨어 등을 체크한다. 컴퓨터의 전원을 넣은 후에 특정 키를 누르면 BIOS 화면이 나타난다. cf.) BIOS의 기능 시스템 파라미터 설정 전원 관리 CPU/메모리 설정 주변 기기 설정 마더보드(Mother board) 메인보드라고도 하며, 컴퓨터를 작동하기 위한 부품 등을 꽂는 회로기판이다. CPU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컴퓨터를 구성하는 부품을 접속하고 데이터 처리와 부품의 제어를 수행하는 기판이다. CPU CPU라고 하며, 외부에서 정보를 입력받아 기억하고 명령을 해석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컴퓨터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 중앙연산처리 장치라고 하며 인간의 뇌에 해당한다. 열이.. 2019. 1. 19.
[Java] Dispatcher-Servlet이란? 1. Dispatcher-Servlet(Dispatcher 서블릿)의 개념 dispatcher-servlet에서 dispatch는 보내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Servlet Container에서 HTTP프로토콜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제일앞에 둬서 중앙집중식으로 처리해주는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 *클라이언트로부터 어떠한 요청이 오면 Tomcat(톰캣)과 같은 서블릿컨테이너가 요청을 받는데, 이때 제일 앞에서 서버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처리하는 프론트 컨트롤러를 Spring에서 정의하였고, 이를 Dispatcher-Servlet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공통처리 작업을 Dispatcher 서블릿이 처리한 후, 적절한 세부 컨트롤러로 작업을 위임해준다. 물.. 2019. 1. 19.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실시간 접근성 :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으로 서비스된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요청하면 수 초 내에 결과를 서비스한다* 계속적인 변화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은 한 순간의 상태이지만, 데이터 값은 시간에 따라 항상 바뀐다.*동시공유 :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업무,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에 공유된다. (병행 = parallel)* 내용에 따른 참조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물리적인 위치가 아니라 값에 따라 참조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DBMS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시켜주는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를 모아둔 토대* 데이터 모델 :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법에 관한 내용 일반적으로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자오디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러한 데.. 2019. 1. 19.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프레임워크는 뼈대나 기반구조를 뜻하는데, Application 개발 시 필수적인 코드,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과 같은 기능들을 위해 어느정도 뼈대(구조)를 제공해 주는 것. 어느정도 뼈대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객체 지향 개발을 하면서 일관성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해 준다. 정의 : 소프트웨어의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호 협력하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집합. 라이브러리는 특정기능에 대한 도구 or 함수들을 모은 집합. 프로그래머가 개발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모아둔 것. 정의 : 단순 활용이 가능한 도구들의 집합. Framework와 Library의 차이 Flow(흐름)에 대한 제어 권한이 어디 있느냐의 차이 프레임워크는 전체적인 흐름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프로그래머가 그 안에 필요한.. 2019. 1. 18.